앞뒤 형태소의 두 음운이 마주칠 때, 원래 없던 음운이 덧붙여지는 현상을 '음운의 첨가'라고 함
음운의 첨가의 대표적인 예는 사잇소리
사잇소리 유형
유형 | 의미 | 용례 |
돤소리되기 | 앞 말의 끝소리가 울림소리이고 뒷말의 첫소리가 안울림 예사소리이면,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가 된다. 이를 표시해주는데 앞말이 모음으로 끝났을 때 'ㅅ' 받침으로 표시해준다. |
촌사람 >>> 촌싸람, 길가 >>> 길까, 뱃사공 >>> 배싸공 |
'ㄴ' 첨가 | 1.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ㅁ,ㄴ'으로 시작되면 'ㄴ' 소리 첨가 2. 앞말의 음운이 자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로 시작하면 'ㄴ' 소리 첨가 |
1. 콧날 >>> 콘날 2. 집일 >>> 짐닐 |
'ㄴㄴ' 첨가 | 앞말의 음운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이 'ㅣ'로 시작되면 'ㄴㄴ' 첨가 | 깻잎(깨잎) >>> 깬닢 베갯잇(베개잇) >>> 베갠닏 |
사잇소리 현상의 특징
1. 발음상 사잇소리가 있음
2. 사잇소리 현상은 불규칙해서 일정한 법칙을 찾기 힘들고 예외 현상이 많다
3. 사잇소리 현상에 따른 의미의 분화가 일어날 수 있다.
1. 호전 작용
'ㄹ' 받침을 가진 단어 또는 어간이 다른 단어 또는 접미사와 결합할 때, 'ㄹ'이 'ㄷ'으로 바뀌어
발음되고 표기되는 현상
2. 활음조
발음을 쉽고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ㄴ,ㄹ) 음운을 변화 또는 첨가시키는 것을 말함
1. ㄴ >>> ㄹ (한아바지 >>> 할아버지, 안음 >>> 아름, 한나산 >>> 한라산)
2. ㄴ,ㄹ 첨가 (폐염 >>> 폐렴, 지이산 >>> 지리산)
3-2. 형태론(part_2 단어) (0) | 2023.06.14 |
---|---|
3-1. 형태론(part_1 문법의 단위) (0) | 2023.06.12 |
2-5. 음운론(part_5 음운의 축약) (0) | 2023.06.11 |
2-4. 음운론(part_4 음운의 동화) (5) | 2023.06.11 |
2-3. 음운론(part_3 음운의 변동) (2) | 2023.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