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5. 간접 vs 직접 인용, ~라고 vs ~하고 띄어쓰기

국어/문법

by js-delog77 2023. 7. 6. 15:31

본문

다른 사람이 얘기했던 걸 인용해서 사용하는 것을 인용문이라고 하는데 인용문에는 두 가지 종류가 있다.

 

하나는 직접 인용절이라고 해서 다른 사람이 했던 얘기를 날 것 그대로 가져와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예시를 들어보면  A, B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A: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직접 인용절>

B: A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했어.

 

여기서 사용된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문장이 A가 얘기했던 그대로 사용된 것을 날 것이라고 하고

직접적으로 사용되었다고 해서 직접 인용절이라고 한다.

 

뒤에 붙은 '~라고'는 (직접 인용) 부사격 조사로 인용문은 부사어가 된다

 

인용절은 " "처럼 쌍따움표를 사용해서 표시한다.

 

다른 하나는 간접 인용절이라고 해서 날 것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변형을 줘서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위에 예시를 다시 가져와서 설명을 하면

 

A: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

 

<간접 인용절>

B: A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말했어.

 

살짝 변형을 줘서 말하는 것을 간접 인용절이라 하고 뒤에 '~고'가 붙는다.

위에서 직접 인용절에서 쓰는 '~라고'처럼 보이는 데 이건 어간을 그대로 두고 어미가 '-라'로 바뀌어서 그렇다.

 

추가적으로 간접 인용절에서는 쌍따움표를 쓰지 않는다.

 

뒤에 붙은 '~고'는 간접 인용 부사격 조사로 역시 부사어라고 볼 수 있다.

 

요약) 직,간접 모두 인용절은 부사어이다.

 

인용절에서 '~라고', '~하고' 띄어쓰기에 대해 많은 사람이 헷갈려 하고 있는데 간단한다.

 

'~라고'는 조사, '~하고'는 동사이다. 이 차이점을 알면 더 쉽다.

 

" "라고: 인용절 "(쌍따움표) " 뒤에 '라고'를 붙여서 사용하고

" " 하고: 인용절 "(쌍따움표) " 뒤에 '하고'를 띄어서 사용한다.

 

<~라고>

B: A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고 말했어.

<~하고>

B: A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V 말했어.   (V: 띄어쓰기 의미)

 

 

'국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높임 표현  (0) 2023.06.19
4. 문장의 표현  (0) 2023.06.19
3-3. 형태론(part_3 통사적)  (0) 2023.06.14
3-2. 형태론(part_2 단어)  (0) 2023.06.14
3-1. 형태론(part_1 문법의 단위)  (0) 2023.06.1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