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4. 문장의 표현

국어/문법

by js-delog77 2023. 6. 19. 21:04

본문

문장의 종결표현은  크게 5가지로 나눌 수 있다.

 

종결 표현 종결 어미
평서문 -다
의문문 -느냐 , -냐
명령문 -아라
청유문 -자
감탄문 -구나

 

평서문

그냥 하고 싶은 말을 단순하게 말하는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 어미 '-다'로 끝난다.

현재 내가 적고 방식도 '-다'로 끝나는데 이것 역시 평서문이라고 볼 수 있다.

 

평서문 어미의 종류 용례
격식체 해라체
하게체
하오체
하십시오체 합니다, 하십시오
비격식체 해체
해요체 해요

 

의문문

질문을 던지고 대답을 요하는 문장을 의문문이라고 한다.

 

대부분 작성할 때 궁금하여 상대방에게 물음을 던질 때 쓰는 말과 문장으로 표현했을 때

뒤에 '?' 갈고리가 붙은 것을 의문문이라고 할 수 있다.

 

설명의문문: 일정한 설명을 요구하는 의문문

내가 질문을 했을 때 단답형으로 대답하는게 아닌 하나 이상의 문장으로 답을 해야 하는

것(설명 or 상세내용)을 말한다.

 

판정의문문: 단순히 답변으로 긍정 or 부정을 요구하는 의문문

o, x 퀴즈처럼 해당하는 말이 맞는지 틀린 지 등 긍정, 부정으로 나눌 수 있는 말을 의미한다.

 

까다롭지만 이러한 것도 판정의문문이 될 수 있다.

ex) 내가 예쁘니? 쟤가 예쁘니?  

와 내가 생각한 거지만 진짜 끔찍한 질문이네;;;

 

명령문

 듣는 상대방에게 어떤 행동을 하도록 강요하는 문장이다.

대표적으로 어미(~아라/~어라)이다.

 

명령문의 의미는 상대 높임법에 따라 의미가 조금씩 달라진다.

해라(강제 명령) > 하게(권고)

 

직접명령문: 상대방과 마주하여 내리는 명령문 (~아라/어라, ~여라, ~거라, ~너라)

ex)
싸우다 + 어라 = 싸워라,
먹다 + 어라 = 먹어라,

이리오너라 

 

간접명령문: 매체를 통해 이루어지는 특수한 명령문 (~[으]라 )

매체는 직접적 전달이 아니 중간 매개물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말한다.

보통 포스터나 인터넷 매체 등을 통해 전달하는 것에 사용하는 것 

 

산림보호단체는 산림 보호를 위한 대책을 세우라

ex)
세우다 + 라 = 세우라
쓰다 + 라 = 쓰라

 

청유문

무슨 일을 같이 하자는 의미로 요청하는 문장이다 

대표적 어미로는 '~자'이다.

 

주어에 화자와 청자를 모두 포함하고 있으면 서술어로는 동사만이 온다.

제안의 의미이기 때문에 과거 표현 등 시간 표현이랑 같이 사용하지는 않는다.

 

같이 치킨 먹자~~ ㅋㅋㅋ 

 

 

'국어 > 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간접 vs 직접 인용, ~라고 vs ~하고 띄어쓰기  (0) 2023.07.06
5. 높임 표현  (0) 2023.06.19
3-3. 형태론(part_3 통사적)  (0) 2023.06.14
3-2. 형태론(part_2 단어)  (0) 2023.06.14
3-1. 형태론(part_1 문법의 단위)  (0) 2023.06.12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