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문법

2-1. 음운론(part_1 말소리)

js-delog77 2023. 6. 9. 17:41

음향과 음성

음향: 

자연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소리

특징으로 비분절적인 소리 

 

음성: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하여 만들어진 물리적인 소리

(자음과 모음으로 분리할 수 이쓴ㄴ 분절적 성질)

 

음운과 음절

음운:

말의 뜻을 변별해 주는 소리의 최소 단위

즉, '국'과 '묵'은 자음 하나의 차이지만 서로 다른 뜻이라는 것을 누구나 알 수 있듯 

구별할 수 있음

 

음운은 2가지로 구분 가능

- 분절 음운(음소): 절대적, 독립적 실현 가능 

자음과 모음이 해당 

자음 (19개)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ㄲ, ㄸ, ㅃ, ㅆ, ㅉ
모음 (21개) 단모음(10개): ㅏ,ㅐ,ㅓ,ㅔ,ㅗ,ㅜ,ㅚ,ㅟ,ㅡ,ㅣ
이중 모음(11개): ㅑ, ㅒ, ㅕ, ㅖ, ㅘ, ㅙ, ㅛ, ㅝ, ㅞ, ㅠ, ㅢ

단모음은 'ㅣ'하나를 붙인 것을 위주라고 생각하면 쉽다

'ㅏ' + 'ㅣ',   'ㅗ' + 'ㅣ' 등 

 

비분절 음운(운소):

소리의 길이, 고저, 세기 등이 해당 

 

음절:

발음할 때 한번에 낼 수 있는 소리의 단위

국어에서 음절의 수는 모음의 수와 일치

모음 = 성절음(울림도가 가장 큰 소리 - 단독으로 음절을 이룰 수 있음)